• 최종편집 2024-06-25(화)
  • 전체메뉴보기

뉴스
Home >  뉴스  >  학술·연구

실시간 학술·연구 기사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팀, 미세 전자 소자를 연결하는 ‘위치 선택적 집적 기술’ 개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 연구팀이 고신축성·고유연성 전극/기판에 마이크로 LED 등의 미세 전자 소자를 물리적·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위치 선택적 집적 기술(A site-selective integration strategy)’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전자 분야의 세계 최고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5월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전자 피부 등 유연성 및 신축성 전자 분야에서는 단단한 물성을 가진 전자 소자를 부드러운 물성을 가진 전극/기판에 물리적·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이방성 도전 필름 등은 자체의 단단한 물성으로 인해 전극/기판의 신축성과 유연성을 저하시키고, 반면에 부드러운 물성의 접착제는 물리적 연결의 안정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소자의 크기가 점차 줄어들면서 좁은 간격의 전극 단자 사이에 전기적 단락 없이 소자와 회로를 연결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에 대응해 새로운 소자 집적 방식인 ‘위치 선택적 집적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딥-트랜스퍼(Dip-transfer) 코팅을 통해 소자의 크기와 종류에 관계없이 소자에만 선택적으로 접착 물질을 패터닝하고, 자기장을 이용해 접착 물질에 섞인 강자성체 입자의 분포 조절을 통해 이방성 전도체를 형성해 소자와 회로/기판 사이의 물리적·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했다. 특히, 단단한 물성의 접착제 영역을 최소화함으로써 전극/기판의 신축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 기술은 현재까지 보고된 마이크로 LED 어레이 중에서 가장 우수한 신축성과 유연성을 보였으며, 전극/기판의 물성에 상관없이 집적 기술을 적용할 수 있어 structure-based/intrinsically 스트레처블 전극을 포함한 임의의 전극에 광범위하게 전자 소자를 집적할 수 있었다. 또한, 수직 방향 자기장에 의해 기둥 형태로 형성된 자기 조립 전도체는 소자와 전극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기둥 사이에 발생하는 척력으로 수평 방향의 전도를 방지해 전극 단자 사이에서 발생 가능한 전기적 단락을 효과적으로 억제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연구팀은 제안한 방식으로 마이크로 IC 구동부와 LED 표시부를 하나의 플렉시블 PCB에 집적해 초소형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센서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 이는 기존에 상용화된 마이크로 IC 칩 중 가장 작은 칩 하나의 크기보다도 작은 크기로, 미래의 고성능 및 고유연성 마이크로 전자 시스템의 구현 가능성을 입증했다. 홍용택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유연·신축 시스템의 기계적 특성을 극대화하면서 고성능 마이크로 전자 소자를 체계적으로 집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향후 플렉서블, 스트레처블 기기 상용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뉴스
    • 학술·연구
    2024-06-13
  • 건국대 김기출 교수팀, 단층 금속 촉매에 결함 도입해 수소 생산 효율 향상
    건국대학교 화학공학과 김기출 교수 연구팀이 NiPS3(삼황화린니켈) 단층 소재의 결함을 제어해 수소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수소 발생 촉매 중 가격이 합리적이며 생산 과정 동안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는 2차원 전이 금속 촉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단층 ‘전이 금속 인 트리칼코게나이드’의 종류 중 하나인 NiPS3는 고유한 2차원 반강자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NiPS3의 반도체 특성과 기저면의 불활성으로 효율이 낮아 이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촉매 결함은 분자 구조 중 일부 원자를 제외하는 것으로, 수소 발생 촉매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이 적용되고 있는 방법 중 하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촉매 결함의 위치 및 결함 개수 등에 따른 체계적인 촉매 결함 구축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NiPS3 단층 표면의 니켈과 황 자리에 체계적으로 결함을 도입해 수소 발생 반응 촉매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 연구팀이 밀도 범함수 이론 계산을 활용해 결함 생성의 열역학적 안정성과 수소 발생 반응 메커니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니켈과 황 자리의 공동 결함이 가장 효과적으로 촉매 성능을 향상시켰다. 니켈과 황 자리의 공동 결함에서 물 분자가 황 결함 자리에 물리 흡착된 후 OH와 H가 각각 황, 니켈 결함에 해리되는 과정이 반응 열역학을 크게 개선하는 핵심 요인으로 확인됐다. 또 니켈과 황 공동 결함 구조에서 물 분자의 해리 흡착 과정의 활성화 장벽이 매우 낮아, 반응 속도에서도 이점을 제공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이는 결함을 도입함으로써 물 분자의 흡착 해리와 해리된 수소 이온의 전기화학적 흡착 과정이 크게 촉진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자 구조 분석을 통해 결함이 소재의 전자 구조를 변화시켜 촉매의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규명한 것이다. 이번 연구 성과는 ‘전이 금속 인 칼코게나이드’ 기반 고활성 수소 발생 촉매 개발을 위한 결함 공학 전략을 제시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다른 칼코게나이드 단층 소재에 확장 적용해 수소 경제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및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해당 연구 논문은 ELSEVIER에서 출간하는 전기화학 분야 최상위 국제 학술지 ‘eScience(Scopus Cite Score=33.7)’의 표지 논문으로 2024년 6월 출판됐다.
    • 뉴스
    • 학술·연구
    2024-06-13
  • 서울대 공대 기계공학부 김윤영 석좌교수팀, 세계 최초로 원형 전단 초음파 완벽하게 생성하는 이방성 메타물질 개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기계공학부 김윤영 석좌교수 연구팀(제1저자 이제승 박사과정)이 한국기계연구원 권민우 박사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승홍민 박사팀과 공동으로 여러 방향으로 발생한 결함을 한꺼번에 검출할 수 있는 원형 전단 초음파를 완벽하게 생성하는 이방성 메타물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공동 연구팀은 기존 소재로는 생성이 어려웠던 완벽한 원형 전단 초음파 생성을 위해 생성이 쉬운 선형 전단 초음파를 원형 전단 초음파로 100% 변환할 수 있는 이론을 새롭게 정립했으며, 이 이론을 만족하는 이방성 메타물질을 설계·제작하는데 성공했다. 공동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된 메타물질을 활용하면 기존의 비파괴 초음파 검사 방식으로는 검출하기 어려웠던 결함까지도 한꺼번에 검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윤영 석좌교수는 해당 성과에 대해 “기존의 전단 초음파 검사 기술의 탐지 성능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한 것”이라며 “앞으로 이 기술이 비파괴 초음파 검사 및 의료용 초음파 기술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권위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2월 12일 자로 게재됐으며, 한국연구재단의 글로벌프론티어사업(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글로벌박사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뉴스
    • 학술·연구
    2024-02-14
  • 서울대 공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팀, 전력 없이 사계절 온도 조절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소재 개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팀이 전력 소비 없이 단일 소재만으로 냉각과 가열이 모두 가능한 혁신적인 에너지 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폭염과 한파가 잦아지면서 냉·난방을 위한 에너지 대란, 찜통 차에 의한 어린이 안전사고 등의 사회적 문제들을 촉발하고 있어 온도 제어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 소모 없이 냉각이 가능한 ‘수동복사냉각’ 기술에 대한 국내·외 연구진들의 노력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수동복사냉각 기술은 물체로 들어오는 태양빛은 반사하고 자발적으로 전자기 복사를 방출하는 ‘플랭크 법칙’을 이용해 열을 우주로 방출해 냉각 효과를 내는 기술이다. 이는 물체의 태양광 반사율이나 적외선 방사율과 같은 고유한 광학 특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 없이 냉각이 가능하다는 것이 최대 장점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기존의 수동복사냉각은 물체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하는 기술의 구현 원리상 냉각이 필요 없는 겨울철에도 냉각 효과를 보여 사계절 적용이 어렵다는 효율성 측면의 한계가 있었다. 그간 국내·외 유수의 연구진들이 물체의 광학적 특성을 제어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들을 개발했지만, 단일 소재 내에서 냉각과 가열이 동시에 가능하며 원하는 온도로 빠르고 효율적으로 도달하는 온도 제어기술 구현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고승환 교수는 “탄성체 고분자 물질과 전기방사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사냉각과 가열이 모두 가능한 마이크로-나노 스케일 섬유 기반의 필름을 제작했다”며 “제작된 섬유 기반의 필름은 압력에 의해 섬유 구조가 변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광학적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섬유 구조의 최적화를 통해 태양광 반사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미 산란(Mie scattering)’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그 결과, 냉각 모드에서는 태양광을 93% 반사하고, 가열 모드일 때는 태양광을 약 10% 반사하며 자유자재로 광학 특성을 변화시켰다. 연구팀은 단순히 압력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여름철에는 냉각 효과가, 겨울철에는 가열 효과가 나타나며 냉각과 가열의 정도까지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특히 외부 기상조건에 따라 온도 제어에 효과적인 광학 특성을 갖도록 구조를 제어한 결과, 마치 에어컨처럼 설정한 온도를 빠른 속도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도 입증했다. 또한 연구팀이 개발한 필름은 태양광을 모사한 램프의 세기가 아무리 변하더라도 자유로운 광학 특성 제어를 통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기존 복사냉각 및 가열 기술 대비 한층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했다. 고승환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일 소재로 연속적인 온도 변화를 확인한 세계 최초의 실험 사례로, 에너지 소비를 크게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냉·난방 효과를 모두 볼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라며 “상용화되면 새로운 온도 제어 솔루션을 활용해 제로에너지빌딩을 통한 탄소 중립, 전기자동차 배터리 소모량 개선, 스마트 팜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치 있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지원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아 응용 물리학 및 재료과학 분야 저명학술지인 ‘스몰(Small)’의 2023년 12월 12일 자 온라인에 게재됐다.(논문 제목: Tunable Radiative Cooling by Mechanochromic Electrospun Micro-Nanofiber Matix) ※ 논문 링크 :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2/smll.202308572 언론연락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편경록 박사과정 02-880-1681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학술·연구
    2024-02-08
  • 서울대 공대 건축학과 류이현 박사과정생, 제18회 국제강관구조학회 ‘최우수 대학원생 연구상’ 수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건축학과 류이현 박사과정생(강구조내진설계연구실, 지도교수 이철호)이 10월 19일 제18회 국제강관구조학회(1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Tubular Structures, ISTS 18, Oct. 17-20)에서 ‘최우수 대학원생 연구상(Best Student Paper Award)’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중국 칭화대학교에서 개최된 이번 국제강관구조학회는 2년마다 개최되는 강관구조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학술대회로, 올해 18회를 맞이했다. 건축학과 이철호 교수가 지도한 류이현 박사과정생은 강관접합부의 변형률을 평가할 수 있는 수치해석 모델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상을 받았다.
    • 뉴스
    • 대학소식
    2023-11-08
  • 건국대 우정헌 교수, 환경부 기후·대기 분야 최우수 R&D 선정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우정헌 교수(사회환경공학부)가 연구 책임을 맡은 ‘동북아시아 기후변화-대기오염 원인물질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GHGs and air pollutants Unified Information Design system for Environment(GUIDE)-Global/Local, 이하 GUIDE-Global/Local)’ 연구가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선정한 ‘2023년 환경기술개발 우수성과 20선’ 및 ‘기후·대기 분야 최우수성과’로 선정돼 환경부 장관 표창을 받는다. 환경부는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환경 기술에 대해 2018년부터 매년 우수 R&D 성과 20선을 선정하고 있다. 특히 올해 우수 성과는 지난해 창출된 환경기술개발 연구 성과를 △물관리 △자원·토양 △생태·보건 △기후·대기 등 4개 분야로 나눠 전문가 평가위원회와 ‘국민생각함’ 투표를 함께 반영해 선정했다. 건국대 우정헌 교수가 총괄 연구 책임을 맡고 있는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원인물질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는 기후·대기 분야 최우수 기술로 선정됐다. 우정헌 교수는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보고서의 주저자를 역임했고, 현재 유엔경제사회위원회(UNESCAP)의 동북아시아청정대기파트너십(NEACAP) 위원장과 국무총리실 미세먼지특별대책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우 교수는 전지구-동북아시아-우리나라 규모의 기후변화와 대기환경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계량적으로 평가·관리하기 위해 에너지-자원, 배출 인벤토리, 오염농도, 건강 피해, 비용-편익 등을 통합 분석하는 ‘기후-대기 통합평가모형(Integrated Assessment Model: IAM)’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연구를 꾸준히 수행해오고 있다. 이번 수상 연구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기후-대기 통합평가모형(GUIDE-Korea) 개발’ 연구도 2019년도 환경부 우수 R&D 성과 20선에 선정된 바 있다. 국제적으로는 IPCC, UN, EU 등과 함께 기후-대기 연구 협력을 주도하는 오스트리아 소재 국제기구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와 꾸준히 협력하고 있으며 올해는 SSP, RCP 등 기후변화 미래 시나리오의 중심이 되는 세계 통합평가모형컨소시움(Integrated Assessment Modeling Consortium : IAMC)에 진입했다. 우정헌 교수는 “이번 연구의 목표는 글로벌 규모에서 우리나라 고유의 통합평가모형을 개발해 전 세계 기후변화 대응체계를 선도하고 유엔 동북아시아 청정대기파트너십 등의 대기환경 국제협력을 지원하는 것”이라며 “지차체 규모의 국내 모형을 개발해 국내 기후변화 원인물질 감축과 적응, 미세먼지 저감 시행계획 지원 등 실질적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프레임워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뉴스
    • 학술·연구
    2023-10-24
  • 가천대학교 심리학과 학부생 3인, SSCI급 논문 게재 '쾌거'
    • 뉴스
    • 학술·연구
    2023-10-17
  • 건국대 고문주 교수팀, 재활용 가능한 고강도 바이오 복합소재 개발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고문주 교수(화학공학과) 연구팀이 자원 순환 재활용(Closed Loop Recycling)이 가능한 고강도 바이오 물질 기반 신개념 복합소재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9월 5일 친환경 화학 공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ACS Sustainable Chemistry & Engineering(IF=8.4)’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논문 공동 제1저자는 홍지예 석사과정생과 홍영기 박사과정생이며, 교신 저자로 고문주 교수가 참여했다.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 복합소재는 우수한 기계적, 열적 성능을 바탕으로 항공 우주, 자동차, 풍력 블레이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하지만 복합소재의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는 재활용이 어려워 이에 따른 환경 오염, 자원 낭비 등 문제점을 해결하는 게 주요 과제였다. 고문주 교수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가공 및 재활용이 가능한 고강도 신규 바이오 기반 비트리머 고분자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고분자 수지는 석유화학이 아닌 ‘바이오’ 기반이다. 기존 복합소재에 응용되는 수지와 비슷한 높은 성능을 보이면서도 상온, 상압 조건에서 친환경 용매인 물과 에탄올을 사용해 쉽게 분해돼 재활용할 수 있다. 또 재활용 및 재가공 후에도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며, 효과적으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에 다시 적용할 수 있다. 고문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미래 사화를 위한 지속 가능 기술이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어 복합소재의 폐기물 저감 및 자원 낭비, 환경 오염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뉴스
    • 학술·연구
    2023-10-17
  •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과 학술교류 간담회 개최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이 9월 21일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과 학술교류 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에 앞서 건국대 서한극 교학부총장이 건국대를 방문한 하이델베르크 대학 안야 젠츠(Anja Senz) 부총장을 맞이했다. 이동혁 건국대 국제처장도 함께해 건국대의 국제교류 현황을 안내하는 등 양교 학생들의 상호 방문 및 교류 방안을 논의했다. 안야 젠츠 부총장은 중국 및 동아시아 전문가이며, 하이델베르크대 산하 아시아·문화횡단연구소는 건국대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과의 연구 협력을 지속해왔다. 이후 이어진 학술교류 간담회에서는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과 아시아·문화횡단연구소가 지속해 온 연구 협력을 강화하기로 약속하고, 하이델베르크 대학이 계획하고 있는 한국학 워킹 그룹(Korean Studies Working Group) 활동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서한극 교학부총장은 “건국대는 최근 국내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대학이다. 독일의 유서 깊은 하이델베르크 대학과의 교류는 두 대학과 학생들에게 커다란 시너지를 가져올 기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를 마련한 신인섭 교수는 “세계적 인문학을 선도하고 있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과의 이번 학술교류는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의 국제적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연락처: 건국대학교 홍보실 서은솔 02-450-3131~2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뉴스
    • 학술·연구
    2023-10-10
  •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사업단, 제21회 해외학술대회 개최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사업단이 제21회 해외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동아시아 비정상 체험과 기록’이라는 주제로 기획된 이번 학술대회는 단국대학교 사범관 406호와 407호에서 진행된다. 발표는 국내외 저명 학자 7인이 참여하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인 정호훈 교수의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 2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이다. 세션 1에서는 ‘일본 근세의 재해 상황 속 비정상 체험과 지식권력’(홍성준, 단국대), ‘막말·메이지기 일본의 권력 이동과 신사의 창건 - 남공사(楠公社)에 의한 충신현창을 중심으로’(이충호, 부산외국어대), ‘宝永期の落書に見る災害復興と世直し願望(호에키(宝永期)의 낙서(落書)에 보이는 재해부흥과 사회변혁의 소망)’(하세가와 마사에(長谷川正江), 니혼대학(日本大学))의 주제로 한국과 일본 학자들의 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세션 2에서는 ‘日本の蘇生譚 - 近世前期の怪異小説を中心に(일본의 소생담(蘇生譚) - 근세 전기의 괴이소설을 중심으로)’(사에키 다카히로(佐伯孝弘), 세이센여자대학(清泉女子大学)), ‘上田万年东亚殖民语言战略的朝鲜‘布局’(우에다 가즈토시(上田萬年)의 동아시아 언어학의 포석)’(리우웨이(李无未), 하문대학(厦門大學)), ‘日据时期韩国汉语会话教材体例和内容的嬗变研究(일제 강점기 한국의 중국어 회화 교재의 체제와 내용의 변화)’(천밍어(陈明娥), 하문대학(厦門大學)), ‘고구려비(高句麗碑)와 고구려의 언어’(양홍매(梁紅梅), 다카사키경제대학(高崎経済大学)) 등 한국과 일본, 중국 학자들의 발표와 토론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사업단 관계자는 "이번 해외학술대회가 동아시아 각국의 개인과 사회가 비정상적인 사태로 인한 충격과 상처에 대해 제각기 어떤 방식으로 자기 이해와 인식을 도모했으며, 치유와 회복을 위해 어떠한 인문학적 대응들이 시도됐는지 다양한 기록들을 통해 살펴보며 심층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뉴스
    • 학술·연구
    2023-10-10
비밀번호 :